본인이 납입한 금액과 만 60세까지 납입하면 얼마 받을 수 있는지 국민연금 많이 찾아보셨을 거라 봅니다. 문제는 거기서 목표금액에 맞게 추가납입하거나 재무계획을 통한 실천이 없다는 것입니다. 국민연금 200만 원 받는 방법 (ft. 계산기 납입액 추가금액) 아래에서 확실하게 정리해 보세요.
목 차
1. 노후자금 필요금액
1.1.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
2. 국민연금 200만 원 받는 방법
2.1. 국민연금 외 연금 평균 수령금액과 최고금액
2.2. 국민연금 계산기 (+나의 예상연금 파악하기)
3. 국민연금 더 받는 방법 (+실제 예시)
4. 국민연금 200만 원 받는 방법 사례
1. 노후자금 필요금액
- 적정 노후 부부 평균 생활비는 2,678,000원입니다. 1인 가구는 1,645,000원입니다.
- 최소 노후 부부 평균 생활비는 1,981,000원입니다. 1인 가구는 1,240,000원입니다.
1.1.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
- 23년 초 발표기준 1인당 국민연금 월평균 수령은 530,000원입니다.
- 노후필요금액과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을 비교해 보면 최소 생활비 기준 절반에도 못 미칩니다.
- 국민연금은 최소 10년 (120개월) 이상 보험료를 납입해야 수령이 가능합니다.
저는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데, 가만 생각해 보니 몇 년 남지 않은 것 같더라고요. 아마 40대 후반 정도의 나이대라면 저와 같은 고민 많을 겁니다. 국민연금 수령액은 올리고, 다른 연금을 통해서 노후생활 준비를 해봐야겠습니다.
2. 국민연금 200만 원 받는 방법
국민연금 월 200만원 수급자는 1988년 국민연금제도 시행 후 30년 만인 2018년 1월에 처음 발생했습니다.
2018년 10명, 2019년 98명, 2020년 437명, 2021년 1천355명 등으로 불어났고, 2022년에는 5천410명으로 껑충 뛰었고, 다시 1년 만에 약 3.3배로 늘었습니다.
2.1. 국민연금 외 연금 평균 수령금액과 최고금액
- 100만 원 이상의 국민연금 수급자는 2022년 56만 7천149명 등으로 늘어났습니다.
- 국민연금 최고액 수급자는 월 266만 4천660원입니다. (부부합산 486만 원입니다.)
2.2. 국민연금 수령액 가입기간 현황 (2022년 기준)
월 수령액 | 평균 가입기간 (개월) |
10만~20만원 미만 | 121 |
20만~30만원 미만 | 127 |
30만~40만원 미만 | 157 |
40만~50만원 미만 | 195 |
50만~60만원 미만 | 230 |
60만~70만원 미만 | 254 |
70만~80만원 미만 | 269 |
80만~90만원 미만 | 285 |
90만~100만원 미만 | 300 |
100만~150만원 | 341 |
150만~200만원 미만 | 385 |
200만~250만원 미만 | 373 |
250만~300만원 미만 | 356 |
노란색 색깔 있는 부분 보셨나요? 최고 수령금액에서 평균가입기간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그 이유는 고소득자가 가입기간에 낸 보험료가 많거나, 아니면 국민연금을 더욱더 많이 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위에서 말했듯이 장기계획으로 200만 원을 만들 수 있다는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.
좀 더 살펴보면 356개월은 대략 29년 6월입니다. 30세부터 가입을 했다면 59세 6월쯤 가입해야 합니다. 아래에서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.
2.2. 국민연금 계산기 (+나의 예상연금 파악하기)
급여소득자나 개인사업자 모두 국민연금 얼마 내시는지 알고 계신가요? 언제부터 납입했는지 기억하시나요? 잘 모르거나 헷갈리신 분들 많습니다. 본인의 위치와 현황을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. 아래의 내용 확인해 보세요. 쉽게 조회 가능합니다.
- 국민연금 노후준비서비스 사이트 접속하세요.
- 인증받은 후 나의 연금 (예상연금)을 선택하세요.
- 납부현황, 예상금액등을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.
- 모바일의 경우 내 곁의 국민연금 어플을 다운로드하으세요.
아래를 통해서 국민연금 더 받는 방법과 200만 원 만드는 방법의 예시를 확인해 보세요.
3. 국민연금 더 받는 방법 (+실제 예시)
본인 수령액을 늘리거나, 부부일 경우 부부 한 사람의 임의가입이나 추납, 연기를 통해서 수령금액을 높일 수 있습니다.
아래에서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. 무리하지 마시고, 본인에게 맞는 장기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.
① 추납 (추후납부)
- 대상: 실직, 폐업, 가정주부로 경력 단절된 경우.
- 방법: 납부하지 않았던 기간의 보험료를 추후에 납부.
- 특징: 주로 50~60대에서 노후준비로 활용.
- 납부 방식: 일시납부 또는 최대 60개월 분납 가능. (
한때 강남에서 유행했던 방법이었음.)
예시)
· 대상: 55세에 실직 후 국민연금 납부 중단, 5년 후인 60세에 추납 신청.
· 납부기간: 5년 (60개월)
· 추납 보험료: 월 20만 원 추납 총액: 20만 원 x 60개월 = 1,200만 원
결과: 가입기간 5년이 추가되어 노령연금 수령액 증가.
예를 들어, 60세부터 매월 30만 원의 연금을 받을 수 있다고 가정할 때, 추납 후에는 35만 원으로 증가 가능.
② 반납 (일시금 반납)
- 대상: 예전에 반환일시금을 받고 다시 취업하여 국민연금 가입자가 된 경우.
- 방법: 반환일시금을 반납하여 가입기간 복원.
- 납부 방식: 일시납부 또는 최대 24회 분납 가능.
예시)
대상: 50세에 일시금 1,000만 원을 받고 국민연금 탈퇴, 55세에 재취업 후 반납.
반납 금액: 1,000만 원 + 이자 (약 1,100만 원) 납부방식: 일시납부 또는 24개월 분납 (월 45.83만 원)
결과: 반납 후 가입기간 복원. 예를 들어, 63세부터 매월 40만 원의 연금을 받을 수 있다고 가정할 때,
반납 후에는 50만 원으로 증가 가능.
③ 임의가입 및 임의계속가입
- 대상: 국민연금 의무가입 대상이 아닌 전업주부나 학생.
- 방법: 본인의 선택에 따라 가입.
- 특징: 가입기간이 부족한 경우 임의계속가입을 통해 노령연금 수령 가능.
- 증가 추세: 임의가입자와 임의계속가입자 수 증가.
예시)
대상: 40세 전업주부, 국민연금 7년 납부 후 중단.
임의가입: 월 9만 원씩 23년 납부 (40세부터 63세까지)
총 납부액: 9만 원 x 276개월 = 2,484만 원
결과: 65세부터 매월 예상 연금액 50만 원 수령 가능.
85세까지 총 수령액: 50만 원 x 12개월 x 20년=1억 2,000만 원
④ 연기연금
- 대상: 노령연금 수령 시 소득이 많은 경우.
- 방법: 연금 수령시기를 최대 5년까지 연기 가능.
- 혜택: 1개월마다 연금액 0.6%씩, 1년 7.2%씩 증가.
- 특징: 감액 피할 수 있음, 연기 시 최대 36% 연금액 증가.
예시)
대상: 60세에 노령연금 수령 자격, 소득이 있어 연기 선택.
연기기간: 최대 5년 (65세부터 수령)
기본 연금액: 60세 기준 월 100만 원
결과: 연기연금 증가율: 5년 x 7.2% = 36%
연기 후 연금액: 100만 원 x 1.36 = 136만 원 65세부터 매월 136만 원 수령 가능
아래에서는 위의 4가지 방법을 통해서 조건에 맞게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200만 원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4. 국민연금 200만원 받는 방법 사례
전제조건은 현재 은퇴 및 국민연금에 대해서 가장 고민하시는 시기인 55세를 기준으로 잡았습니다. 가입기간은 일정정도 되어야 하기 때문에 25년을 기준하였습니다.
- 현재 예상 수령액: 150만 원
- 목표 수령액: 200만 원 (차액 50만 원 증가)
- 가입자 나이: 55세
- 현재 가입기간: 25년
- 현재 소득: 월 3,000,000원
① 추납방법 (추후납부)
- 추납 기간: 과거 5년간 소득이 없던 기간 추납
- 추납 보험료: 월 20만 원
- 추납 총액: 20만 원 x 60개월 = 1,200만 원
- 결과 : 5년 추납 후 가입기간 30년이 되어 예상 수령액 증가, 추가로 연금액 약 20만 원 증가됩니다.
② 연기 연금 방법
- 연기기간: 최대 5년 (60세부터 65세까지)
- 기본 연금액: 150만 원
- 결과 : 연기연금 증가율: 5년 x 7.2% = 36%, 연기 후 연금액: 150만 원 x 1.36 = 204만 원 가능하여,
- 65세부터 매월 204만 원 수령 가능합니다.
③ 임의가입 방법
- 대상: 현재 전업주부로 국민연금 가입 중단된 경우 (부부 활용예시)
- 가입기간: 25년에서 35년으로 늘리기 위해 추가 10년 납부
- 납부 보험료: 월 9만 원, 총 납부액: 9만 원 x 120개월 = 1,080만 원
- 결과 : 10년 추가 납부 후 예상 연금액 증가하여, 추가로 연금액 약 20만 원 증가됩니다.
④ 일시금 반납 방법
- 대상: 과거 반환일시금을 받고 국민연금 탈퇴한 경우
- 반납 금액: 1,000만 원 (이자 포함)
- 납부 방식: 일시납부 또는 24개월 분납 (월 45.83만 원)
- 결과 : 반납 후 가입기간 복원, 예상 연금액 약 20만 원 증가 예상합니다.
4.1. 종합 시뮬레이션 (+ 최적의 방법)
- 추납: 5년간의 미납 기간을 추납 하여 1,200만 원 납부하면, 국민 연금액이 약 20만 원 증가합니다.
- 연기연금을 활용하여 5년 연기하면 연금액 36% 증가하여, 연금액이 월 54만 원 증가합니다.
종합 결과 (+최적의 방법)
· 기본 연금액 150만 원 + 추납 후 20만 원 증가 = 170만 원
· 170만 원 x 1.36 = 231.2만 원 (연기연금 효과 포함)
본인 연금이 적거나 많이 부족하더라도 위의 4가지 방법을 활용하여 계획을 세우시면 현재보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최대 50~70만 원 높게 받을 수 있습니다. 지금부터 준비해도 충분합니다.